본문 바로가기

공부/한자, 중국어

[중국어 공부] 숙어, 성어, 관용어, 헐후어 속담 정리

반응형

[중국어 공부] 숙어 정리(성어, 관용어, 헐후어, 속담)


1. 숙어

- 성어, 관용어, 헐후어, 속담, 격언을 포함 (학자마다 숙어의 범위가 달라 속담과 격언을 포함시키지 않은 경우도 있지만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

- 구조적으로 정형성을 지니고 의미적으로 통합성을 지님

- 정형성: 비교적 고정적 형식. 의미가 같거나 유사한 형태소나 단어로 대체할 수 없으며 형태 소간의 위치도 마음대로 바꿀 수 없음

- 숙어의 종류 중 성어는 역사, 고사에 연원한 것이 많아 전승 시간이 길어서 비교적 고정적인 반면, 관용어와 헐후어는 구두로 전해진 것이기 때문에 성어에 비해 정형성이 조금 떨어짐, 하지만 관용어와 헐후어의 구조적으로는 정형성을 가지고 있어 그 구조적 변이는 매우 제한적임

- 숙어의 의미는 일반적으로 그것을 구성하는 형태소의 의미로부터 도출해 낼 수 없음

 

* 고정구

구조가 비교적 고정적이고 의미도 비교적 명확해 그것을 구성하는 형태소의 의미를 통해 표면적인 이해 가능

 

 

2. 성어

- 의미: 역사적으로 전해 내려오는, 짜임새 있는 구조에 완전한 하나의 의미를 갖는 고정구

 

- 유래: 역사적으로 계승한 것이 대부분, 새롭게 만들었거나 외래의 성어를 차용한 것들도 있음

 

- 특징

  1) 네 글자 격식: 대체로 네 글자, 네 글자가 아닌 것도 있음

  2) 정형성: 고정적 구성성분. 성어를 구성하는 성분들은 의미가 같거나 비슷한 형태소나 단어로 교체할 수 없으며, 성분을 임의로 추가하거나 생략해서도 안 됨

  3) 고정적 구조 관계: 성어를 구성하는 성분들 사이에 존재하는 일정한 구조 관계는 바꿀 수 없음

            cf. 병렬 관계의 성어 중에는 위치가 바뀔 수 있는 예도 있음, 모든 병렬 관계의 성어를 바꿀 수 있는 건 아님

  4) 총체성: 성어의 의미는 성어를 구성하는 각 성분 의미의 단순한 결합이 아님

  5) 서면어색체가 강함

 

구조

  1) 병렬구조: 전후 두 부분이 나란히 함께 하나의 뜻을 나타내는 것. 두 부분은 상호 구조도 같고 길이도 같은 대칭적 구조를 형성함

            ex. 神出鬼没[shénchūguǐmò] 신출귀몰하다. 동에 번쩍 서에 번쩍하다.

  2) 편정구조: 후자가 주된 것이고 전자는 부차적인 것. 전자가 후자를 수식하고 제한함

            ex. 锦上添花 [jǐnshàngtiānhuā] 금상첨화, 아름다운 비단 위에 꽃을 수놓다. 좋은 일에 또 좋은 일이 더해지다.

  3) 주술구조: 마치 앞 부부는 주어이고 뒷부분은 술어인 것처럼 앞부분에 대하여 설명을 덧붙이는 것

            ex. 老马识途 [lǎomǎshítú] 늙은 말은 길을 알고 있다. 경험이 많으면 그 일에 능숙하다.

  4) 지배구조: 앞부분은 주로 동사, 뒷부분은 동사의 지배 대상

            ex. 不辨菽麦 [búbiànshūmài] 콩과 보리를 구별하지 못하다. 사리를 구분하지 못하다.

  5) 특수연계구조

     (1) 연동식: 전후 두 개의 동사가 제각기의 동작을 표시하는데, 전자의 동작이 발생해야만 비로소 후자의 동작이 뒤따라 올 수 있음

            ex. 缘木求鱼 [yuánmùqiúyú] 연목구어, 나무에 올라 물고기를 구하다. 불가능한 일을 하려고 하다.

    (2) 체계식:- 중간에 끼워져 있는 한 개의 명사로 말미암아 두 개의 동사가 서로 연결되는 형태. 명사는 동사의 동작 대상 같기도 하고, 뒤에 있는 동사의 동작 주체 같기도 함

            ex. 引狼入室 [yǐnlángrùshì] 늑대를 제 집에 끌어들이다. 화를 자초하다.

 

- 운용

  1) 일부 성어들은 의미가 같지만 사용된 글자가 다른 경우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상용되는 것을 선택해야 함

  2) 많은 성어들은 고대 중국어에서 전해 내려온 것이므로, 오늘날의 독음을 기준으로 수정된 것도 있지만 일부 형태소의 독음은 고대 중국어의 독음을 보존하고 있음. 따라서 특수한 독음에 주의해야 함

 

 

3. 관용어 惯用语 [guànyòngyǔ]

- 의미:  두 개 이상의 단어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그 단어들의 의미만으로는 전체의 의미를 알 수 없는, 특수한 의미를 나타내는 어구. 일상생활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대중화된 구어. 직역으로 그 결과적인 의미를 유추할 수 있는 관용어, 조금은 음미해야 이해할 수 있는 관용어, 그리고 왜 그런 의미로 해석이 되는지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관용어 등이 있음.

 

- 특징

  1) 상대적으로 고정적인 구성성분→상대적 정형성 (결합이 자유로운 구에 비해서는 안정적, 성어에 비해서는 정형성이 떨어짐)

  2) 관용어를 구성하는 각각 성분들은 일반적으로 의미가 같거나 비슷한 단어로 대체될 수 없음

  3) 각각의 글자가 갖고 있는 의미 그대로가 아니라 비유적인 형태로 쓰임, 역사 이야기나 전설에서 유래된 것이 많음, 함축적

  4) 구성성분의 표면적 의미만으로 얻어지는 것이 아님. 하지만 관용어의 의미와 그 구성성분의 의미가 전혀 관계없는 것은 아님

 

- 구조적 특징

  1) 주로 세 글자 격식을 가짐

            ex. 拉关系[lāguānxi] 관계를 맺다, 吹牛皮[chuīniúpí] 허풍을 떨다

  2) 수식 구조로 된 관용어도 있음

 

 

            ex. 大锅饭[dàguōfàn] 한솥밥, 铁饭碗[tiěfànwǎn] 평생직업

 

  3) 3음절 이상의 관용어도 소수 존재함

            ex. 做白日梦[báirìzuòmèng] 백일몽을 꾸다, 吹胡子瞪眼[chuīhúzidèngyǎn] 눈을 부릅뜨고 성질을 내다

  4) 성어보다 고정성이 약해 중간에 다른 성분을 삽입할 수 있음

            ex. 碰钉子[pèngdīngzi]→碰了不少钉子, 出难题[chūnántí]→出了个难题

                  거절당하다적지 않은 거절을 당했다 / 곤란하게 하다→좀 곤란하게 했다

 

- 관용어의 가변성: 성분의 구조관계를 기준으로 관형어를 분석하면 대부분의 관형어는 술목구조, 중간에 다른 성분이 삽입될 수 있으며 형태소의 순서가 도치될 수 있음. 하지만 의미에는 영향을 주지 않음

 

* 술목구의 경우 동사술어 뒤에는 보어가 올 수 있고 목적어 앞에는 수식어가 올 수 있음. 경우에 따라서 목적어가 동사술어 앞에 올 수도 있음

 

*관용어는 예문보다 유래된 내용을 아는 것이 더 중요함

            ex. 装洋蒜[zhuāng yáng suàn], 卖关子[mài guān‧zi] 모두 한국식대로 하면 시치미를 떼는 것. 그러나 뉘앙스 차이 존재. 装洋蒜은 내심을 감추는 것이고, 卖关子는 사람들의 조바심을 유발하기 위해 시치미를 떼는 것. 유래된 이야기를 알면 자연스럽게 뉘앙스의 차이를 느낄 수 있음

 

- 운용

  1) 관용어를 사용하는 데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원칙은 관용어가 지닌 간결함을 잘 발휘하도록 하는 것

  2) 관용어가 지닌 형상적 비유적 표현은 생동적이며,  때때로 선명한 감정 색채를 띠기도 함

  3) 간결하면서도 생동적인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내용 면에서 표현에 필요한 적합한 성어나 관용어를 선택해야 함

 

- 예시

  1) 抓辫子 [zhuā biàn‧zi] (抓: 잡다 辫子: 땋은 머리): 약점을 잡다

  • 청나라 말기까지 중국인들은 머리를 땋았음. 머리칼은 부모가 주었기 때문에 마음대로 자르면 안 된다는 인식에서 비롯됨
  • 노신 선생의 <아큐정전>에서 阿Q와 小D가 싸우는 장면에서 등장. 싸울 때 상대방의 변발을 움켜쥐어 꼼짝 못 하게 했다는 것. 상대방의 辫子를 잡으면 상대방의 약점을 잡은 것과 마찬가지로 상대방을 꼼짝달싹 못하게 할 수 있다.
  • 상대방을 협박, 강요할 때 이용하는 상대방의 약점을 잡았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笑面虎 [xiào miàn hǔ] (笑面 : 웃는 얼굴 虎 : 호랑이): 양의 탈을 쓴 늑대

  • 호랑이는 산중의 왕으로 불리는 만큼 포악하고 무자비한 동물. 이러한 호랑이가 웃는 얼굴을 보이는 것은 본성과 어긋남
  • 겉은 온화하고 착한 모습이지만 속은 음흉한 악인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二皮脸 [èr pí liǎn] (二皮 : 두 겹 脸 : 얼굴): 얼굴에 철판을 깐 사람

  • 얼굴의 피부가 두 겹이다.
  • 얼굴에 철판을 깐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 开绿灯 [kāi lǜ dēng] (开 : 켜다 绿灯 : 푸른 신호등) : 편의를 제공하다

  • 빨간 신호등, 노란 신호등과 달리 켜지면 통과할 수 있음
  • 제한조건이 해소되거나 편의를 제공해주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5) 闯红灯 [chuǎng hóng dēng] (闯 : 불쑥 뛰어들다 红灯 : 붉은 신호등): 법규를 어기다

  • 붉은 신호등이 켜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마구 지나가는 행위
  • 규정을 위반한 행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4. 헐후어

- 의미: 짧고 재미있는 은어나 속어,  말의 뒷부분을 생략하고 그 앞부분만으로 뜻을 암함. 앞부분은 보통 형상을 표현, 뒷부분은 앞부분을 해석, 설명함(비유, 중의적인 방법, 실제 의미를 직접 해석하는 방법을 통해)

 

- 유래 (전반부 형성 연원): 대부분 실제 생활에서 유래, 어떤 것들은 현실 생활과 현상을 개괄하고 총괄함. 현실의 사물을 근거로 상상한 결과. 역사 이야기나 신화 전설에서 연원

 

- 헐후어의 전반부와 후반부(설명되는 부분-설명하는 부분)의 관계

  1) 의미 관계:

     (1) 전반부는 특정 행위(생활에서 일어나는 일이나 가상적인 일) 서술, 후반부는 이러한 행위의 결과 혹은 방식 설명

            ex. 肉包子打狗-有去无回。(결과: 개가 肉包子를 먹음): 가는 것은 있으되 오는 것이 없다

     (2) 전반부는 특정 사물에 대해 말하고, 후반부는 이 사물의 특징과 상태 설명. 두 가지 사물에 대해 말하고 두 가지 사물의 특징을 개괄하는 경우도 있음

            ex. 铁公鸡- 一毛不拔。(铁公鸡는 진짜 닭이 아니므로 털이 없고, 따라서 一毛不拔임)

     (3) 전반부는 행위나 현상 설명, 후반부는 이러한 행위나 현상이 발생할 때 나는 소리 모방

            ex. 狗撵鸭子-刮刮叫。(刮刮叫는 개가 쫓길 때 내는 소리)

     (4) 전반부는 특정 현상을 이야기하고, 후반부는 이 현상에 대해서 개괄적으로 설명

            ex. 荷花塘里着火-藕燃(偶然)。: 연꽃 연못에 불이 나면(荷花塘里着火), 연뿌리가 타다(藕燃)

     (5) 전반부는 역사나 신화 전설에서의 사건이나 인물을 기초로 하고, 후반부에는 이에 대해 설명하는 방식

            ex. 李鬼劫路-盗名欺世。(李鬼는 「水浒传」에 등장하는 인물, 그는 李逵 행세를 하면서 길을 막고 물건을 빼앗았는데, 여기에서 盗名欺世가 나옴)

 

2) 문법 관계

     (1) 전반부는 주어, 후반부는 서술어로 이루어진 주술 관계

            ex. 丈二的和尚-摸不着头脑。

     (2) 연동 관계로, 후반부는 연동문의 일부분

            ex. 外甥打灯笼-照舅(旧)。(打灯笼과 照舅의 주체는 모두 外甥, 연동문을 구성함)

 

* 헐후어의 후반부는 대부분 술어, 일부 헐후어의 후반부는 명사구이지만 문법적 관계에서 보자면 술어에 속하며, 이는 '명사적 술어문'이라고 할 수 있음.

            ex. 土地爷放屁神气。(神气는 의미적으로 술어 역할을 하는 성분이지만 , 의미가 전환된 것, 원래는 '神(仙)的气'라고 해야 함)

 

- 특징

  1) 형식적 특징

     (1) 앞 뒤 두 부분으로 이루어짐

  • 앞부분은 대부분 주술구, 독립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하나의 문장
  • 수식어와 명사의 결합인 명사구의 경우도 있음
  • 후반부는 대부분 술어와 목적어, 부사어와 목적어의 결합, 후반부에 명사구가 오는 경우도 있음

     (2) 성어에 비해 구조적 정형성이 약함, 앞부분은 같은데 뒷부분이 다르거나 뒷부분은 같은데 앞부분이 다른 경우도 있음

 

  2) 의미적 특징

     (1) 뒷부분에서 핵심 의미가 드러남

  • 뒷부분에서 직접적으로 의미를 나타내기도 하고 해음을 이용해 의미를 나타내기도 함
  • 해음을 이용해 뜻을 나타내는 방식은 특정 단어와 음이 비슷한 단어를 통해 특정 단어를 연상시킴으로써 의미를 전달함. 한층 더 완곡한 방법. 음의 유사 정도에 따라 동일한 것과 비슷한 것,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음

- 운용

1) 생활에 연원을 두고 있으므로 일부는 지역적 색채가 강함. 대다수의 사람들이 이해할 수 있는지를 고려하고 사용해야 함

2) 부정적 의미를 지니거나 심지어는 비속하고 저급한 표현도 있어 주의를 요함

3) 헐후어의 진정한 의미는 후반부에 있으므로, 후반부를 생략하면 이해에 어려움이 있음. 일반적인 경우 후반부를 생략해서는 안되지만 자주 사용되거나 의미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헐후어의 경우에는 생략할 수 있음

 

 

5. 속담

- 의미: 민간에 전해 내려오는 간결하고 생동감 있는 관용 표현

 

- 특징: 대부분 사회생활의 경험과 지식을 총결한 것

 

- 종류

1) 농업생산에 관한 속담

2) 기후변화에 관한 속담

3) 정의구현을 기원하거나 어둡고 추악한 면을 폭로하는 풍자적인 속담

4) 경고나 경계를 권하는 계율적인 속담

5) 의식주나 생활지식에 관한 속담

 

- 예시

  1) 工欲善其事,必先利其器。[gōngyùshànqíshì, bìxiānlìqíqì]

  • 장인이 일을 잘하려면 반드시 먼저 그에 필요한 기구를 예리하게 해야 한다
  • 모든 일은 기초가 제일 중요하다. 어떤 일을 잘하려면 준비를 잘해야 한다

  2) 一个和尚挑水吃,两个和尚抬水吃,三个和尚没水吃。[yī gè hé shàng tiāo shuǐ chī ,liǎng gè hé shàng tái shuǐ chī ,sān gè hé shàng méi shuǐ chī]

  • 한 명의 중은 스스로 물을 길어 마시고, 두 명의 중은 서로 맞들어 마시고, 세 명의 중은 서로 미루어 마실 물이 없다
  • 협동하지 않으면 아무것도 이룰 수 없다

  3) 一人做事一人当。 [yī rén zuò shì yī rén dāng]

  • 한 사람이 일을 하면 그 사람이 맡는다
  • 책임을 회피해서는 안 된다

4) 亡羊补牢, 犹未为晚。 [wáng yáng bǔ láo , yóu wèi wèi wǎn]

  • 양을 잃은 후에라도 서둘러 울타리를 수리하면, 그래도 늦은 편은 아니다
  • 일이 발생한 후에 대책을 마련하다.

5)  跑得了和尚, 跑不了庙。 [pǎo dé le hé shàng , pǎo bù le miào]

  • 중에서는 도망가지만, 절에서는 도망갈 수 없다
  • 도망 못 간다. 도망 가봤자 손바닥 안이다
반응형